ハリセンボン飲まされる軍事板常見問題用データ集積庫,2020.4.4

軍事板常見問題に使うかもしれないデータを集積しているだけの倉庫です 軍事板常見問題本館: http://mltr.ganriki.net/index02.html  エンコードはunicord
0
前へ 1 2 3 ・・ 18 次へ
국제 헝가리 군사사 보존 협회 한국지부 🇭🇺🇰🇷 @IHMHPSKOR

금빛 오리로 변했다. 그리고는 끝없는 바다를 향해 날아 내려갔다. 바다로 들어가자 숨이 막혀 바닥까지 내려 갈 수가 없었다. 다시 물 위로 올라온 그는 깊이 숨을 들이마시고, 온 힘을 다하여 잠수하여 바다 바닥에, 어둠 속에 있는 잠자는 눈(씨)을 밖으로 가지고 나왔다.

2020-03-29 20:20:31
국제 헝가리 군사사 보존 협회 한국지부 🇭🇺🇰🇷 @IHMHPSKOR

이것이 깨어나면서 생명체가 태어나게 되었다." 세상이 아무 것도 없는 상태에서 창조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있는 씨앗을 발아시켜 생명이 창조되었다고 보는 것이 이 신화의 가장 큰 특징입니다. 더불어 전달자의 존재와 '잠수'는 헝가리 신화에서 나타나는 가장 아시아적인 모티브이기도 하지요.

2020-03-29 20:20:31
국제 헝가리 군사사 보존 협회 한국지부 🇭🇺🇰🇷 @IHMHPSKOR

몽골의 창세 신화와도 상당한 유사점을 지닙니다. 몽골 신화에 나오는 이치르바니 보르항(금강불)과 차강-슈헤르트의 관계는 천상의 아버지와 태양신 머고르의 관계처럼 친밀하며, 차강-슈헤르트가 바다 밑에서 진흙을 가져와 그것으로 대지를 만드는 것 역시 헝가리 신화와 비슷합니다.

2020-03-29 20:20:31
국제 헝가리 군사사 보존 협회 한국지부 🇭🇺🇰🇷 @IHMHPSKOR

머고르Magor의 Mag는 '씨'라는 의미로 머고르는 씨 뿌리는 사람이라는 뜻을 지닙니다. 즉 창조구가 씨를 키워 세상을 창조하는 일을 아들인 태양신 머고르에게 위임했음을 의미합니다. 머저르라는 민족 이름도 머고르와 관계되어 있는데,

2020-03-29 20:20:32
국제 헝가리 군사사 보존 협회 한국지부 🇭🇺🇰🇷 @IHMHPSKOR

고대 부족들은 숭배하는 신의 이름을 따서 부족명으로 사용했기 때문입니다. 이것으로 헝가리 민족이 태양신을 숭배했음을 알 수 있지요. 또한 위의 금빛 오리의 경우 고대 핀-우고르 어족의 토템인 물오리와도 연관되어 있습니다. 최초 헝가리 민족은 기원지가 사막화됨에 따라 처음에는

2020-03-29 20:20:32
국제 헝가리 군사사 보존 협회 한국지부 🇭🇺🇰🇷 @IHMHPSKOR

스키타이 문명이 뿌리내린 대 마그나 홍가리아, 그 다음으론 동부의 레베디아, 마지막으론 드네프르 강과 드네스테르 강 사이로 이동했지요. 이렇기 때문에 머저르 족은 다양한 문화권과 접하면서 신화와 토템에 있어 다채로운 형태를 보여줍니다.

2020-03-29 20:20:33
국제 헝가리 군사사 보존 협회 한국지부 🇭🇺🇰🇷 @IHMHPSKOR

1914년 8월 17일, 고르도크 전투에서 헝가리 왕립군 제 5기병사단 23기병여단은 개활지에서의 돌격을 감행했습니다. 러시아군의 반격은 "역사 깊은 헝가리 후사르의 명성"에 비극을 선사했지요. 후사르들의 비극과 함께 헝가리식 카르투슈를 담았습니다. 살펴보시지요!😳 newfront.ca/data/documents… pic.twitter.com/38CvpjzDqb

2020-03-27 18:40:58
拡大
拡大
拡大
국제 헝가리 군사사 보존 협회 한국지부 🇭🇺🇰🇷 @IHMHPSKOR

『코리아, 조용한 아침의 나라』의 저자이자 열렬한 투란주의자, 민속학자였던 버라토쉬 벌로그 베네데크는 이른바 "조선을 사랑한 남자"였습니다. 우랄-알타이 민족들에 깊은 관심을 가진 그는 연구를 위해 동아시아로 잦은 여행을 떠났지요. 한반도를 처음 방문한 해는 1907년이었습니다. pic.twitter.com/CfayEfJnB7

2020-03-27 18:44:14
拡大
국제 헝가리 군사사 보존 협회 한국지부 🇭🇺🇰🇷 @IHMHPSKOR

버라토쉬의 한반도 여행기는 시작부터 난관에 봉착하고 맙니다. 동행하기로 한 조선인 친구가 만주의 훈후즈 조직들과 행한 밀거래에서 계산착오로 인해 탑승할 배를 빼앗겼기 때문이었습니다. 결국 버라토쉬는 육로를 통해 말을 타고 한반도를 여행해야 했습니다. 오히려 잘된 일이었지요.

2020-03-27 18:44:15
국제 헝가리 군사사 보존 협회 한국지부 🇭🇺🇰🇷 @IHMHPSKOR

민속학자로서의 예리함과 열린 시선으로 버라토쉬는 조선과 조선인들을 바라보았습니다. 버라토시의 입장에서 이전까지 여행가들이 남긴 조선에 대한 기록은 너무나 왜곡되고 제한적인 것이었습니다. 이후 유럽의 여행기들이 '수박 겉 핥기'식으로 본 사람들에 의해 쓰여졌다고 비판할 정도였지요.

2020-03-27 18:44:15
국제 헝가리 군사사 보존 협회 한국지부 🇭🇺🇰🇷 @IHMHPSKOR

1929년 부더페쉬트에 정착한 버라토쉬는 자신의 경험을 엮어 한반도에 대한 여행기를 출간합니다. 책에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서울까지 향하는 자신의 여행기록, 한반도의 자연 환경, 한국인들의 생활 방식, 사찰의 세계, 한국사 개요, 일본에 미친 한국의 문화적 영향, 유럽-한국 관계사, 궁궐의 삶,

2020-03-27 18:44:16
국제 헝가리 군사사 보존 협회 한국지부 🇭🇺🇰🇷 @IHMHPSKOR

그리고 1922년과 1923년 일본과 한반도를 방문하여 겪어던 일제 치하의 모습까지 민속학자의 입장에서 철저히 분석하여 담겨 있었습니다. 이제껏 조선에 대해 알려진 왜곡된 사실들을 하나하나 반박하고 이전의 여행가들을 비판하며, 심지어는 일본인 고고학자와 말다툼을 벌이기까지 하였습니다.

2020-03-27 18:44:17
국제 헝가리 군사사 보존 협회 한국지부 🇭🇺🇰🇷 @IHMHPSKOR

1922년 일본투란본부에서의 일화는 그의 한국사랑을 단적으로 보여줍니다. 창립식 행사에는 투란계통의 각국 민족 대표들이 초청되었고 그들의 국기가 계양되었습니다. 한국인들과 태극기 역시 함께 하였습니다. 그러나 행사장을 방문한 일본군 장교 하나가 분노하여 태극기를 치울 것을 명령합니다.

2020-03-27 18:44:17
국제 헝가리 군사사 보존 협회 한국지부 🇭🇺🇰🇷 @IHMHPSKOR

버라토쉬와 한국인 참가자들, 호리우치라는 퇴역 제독까지 나서 일본 장교와 이후 도착한 경찰서장을 설득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말았습니다. 결국 태극기는 물론 한국 대표들의 인사말까지 포기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하지만 버라토쉬는 한국 참가자들에게 행사에 남아 줄 것을 간청하였습니다.

2020-03-27 18:44:17
국제 헝가리 군사사 보존 협회 한국지부 🇭🇺🇰🇷 @IHMHPSKOR

행사가 끝나고 연회가 시작되자 한국인들에겐 기회가 주어졌습니다. 앞서 태극기와 관련하여 얼마나 끔찍한 일이 일어났는지 설명하였고 버라토쉬는 이에 공감하였지요. 결국 참석한 한국인들이 전부 영구 추방을 당하는 안타까운 결말을 맞이하지만 말입니다.

2020-03-27 18:44:18
국제 헝가리 군사사 보존 협회 한국지부 🇭🇺🇰🇷 @IHMHPSKOR

여행기 말미에서 버라토쉬는 일본에 대한 비판과 함께 한 문장의 글귀로 일제 치하의 한민족을 완벽하게 표현합니다. "한국은 자유롭게 살기를 원하며 또한 그렇게 살 것이다."

2020-03-27 18:44:18
국제 헝가리 군사사 보존 협회 한국지부 🇭🇺🇰🇷 @IHMHPSKOR

『코리아, 조용한 아침의 나라』는 한국만을 다룬 최초의 단행본으로, 극소량만이 출판되었습니다. 버라토쉬마저 부더페쉬트 공방전 도중 사망하면서 완전히 소실되었을 것이라 여겨지던 책이었지요. 그런 의미에서 현 주한 헝가리 대사 초머 모세씨가 이 책을 발견한 것은 가히 기적이었습니다.

2020-03-27 18:44:18
국제 헝가리 군사사 보존 협회 한국지부 🇭🇺🇰🇷 @IHMHPSKOR

@KBS26381859 ← a picture of Honvédség in 1948 → It's '1947-type' and '1949-type' using M1935 shells (WWII). You can see that they used a lot of wwii Honvéd uniforms and equipments during Second Hungarian Republic. But since 1950, the Soviet regime has adopted Soviet-style equipments.🥰 pic.twitter.com/MBLyM1mIUE

2020-03-26 22:32:44
拡大
拡大
Yuichi Takata@文化財デジタルアーカイブと石丁場のひと @archaeology_arc

文化庁『埋蔵文化財保護行政におけるデジタル技術の導入について3』(報告)のPDFが公開されました。PDF が開きます。 #考古学 #デジタルアーカイブ #埋蔵文化財 bunka.go.jp/seisaku/bunkaz…

2020-03-24 18:24:56
島 充@城郭模型 @joukakumokei

こんにち一般的に「多聞櫓」とまとめて呼ばれるものは、江戸期には「多門」「長屋」「走り櫓」「長櫓」「渡櫓」「居櫓」などと呼ばれる。 「多聞櫓」なる用語の初出はどこなのだろうか。 誰か教えて pic.twitter.com/MOEM5EplVP

2020-03-25 17:48:41
拡大
ビジュアル再現 村上城 @vr_murakamijo

我が村上城も正徳元年(1711)の「村上御城廓」では全て「○○御多門」と記される。「多聞」という表記は見られないようだ。 twitter.com/joukakumokei/s…

2020-03-25 18:12:20
越後高田城丸山 @mXWhMDUYmNK1BIU

越後の城の三重櫓の三階部分には、他の城に見られない特徴があります。 新発田城三重櫓は、三階屋根がT字型になっており、3つの鯱が乗っている珍しい造りになっています。 村上城、長岡城、高田城は、三階中央部分が突き出た造りになっているのが特徴です。 ①新発田城 ②村上城 ③長岡城 ④高田城 pic.twitter.com/2zNCcsjrND

2020-03-25 21:31:09
拡大
拡大
拡大
拡大
ビジュアル再現 村上城 @vr_murakamijo

@mXWhMDUYmNK1BIU 長岡ー村上の意匠の共通性は、両城の築城にかかわった堀直竒の趣味(?)でしょうかね??

2020-03-25 22:11:59
ビジュアル再現 村上城 @vr_murakamijo

3面図合わせ完了。ちょっくらこれをベースにざっくり概形組んでみる。 pic.twitter.com/1rxYHMCTXY

2020-03-26 01:00:47
拡大
ビジュアル再現 村上城 @vr_murakamijo

というわけで、新発田城の図面を参考に、標準重箱櫓モデル(?)の細部を調整してみた。窓の大きさとか軒の反り具合とか微妙な変化だが、ちょっとはリアリティ出たか? ついでに「享保7年間部家絵図」の描写に基づく下見板ver.も作ってみたが、まじめにやると結構ポリゴン食うな。。。 pic.twitter.com/3ykWMj08RW

2020-03-27 02:43:00
拡大
拡大
前へ 1 2 3 ・・ 18 次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