正しくTogetter / min.tにログインできない不具合が発生中です。X側の修正をお待ちください(詳細はこちら)

"복돌 논쟁"

누가 승리해도 인류는 망한다! 일단 내 과제는 망했다!
0
前へ 1 2 ・・ 7 次へ
@DMG_FOXP2

@creaturess @FNS_ReSET https://t.co/L68hhhCAdI https://t.co/V0ZrFW4JL2 이런 것들이 '복돌짓'을 합리화시키는 논리로 이용될 수 있을지는 몰라도 합리화시키고자 하는 것인가요?

2013-06-01 20:07:19
生物體 @creaturess

@DMG_FOXP2 @FNS_ReSET 단순히 공식 채널의 부족함으로 인해 정품에 대한 접근도가 떨어진다 이런 이야기는 타임라인에서 수없이 돌고 돕니다. 단순히 이런 이야기였으면 제가 비아냥댈 이유도 없었겠죠.

2013-06-01 20:08:11
生物體 @creaturess

@DMG_FOXP2 @FNS_ReSET '복돌짓을 합리화시키는 논리로 이용될 수 있음'과 '합리화시키고자 하는 것'의 차이를 모르겠군요. 복돌 이용자가 파이를 넓히는 효과가 있다는 헛소리나 해대는데 자꾸 왜 옹호하시는지 모르겠네요.

2013-06-01 20:09:30
@DMG_FOXP2

@creaturess @FNS_ReSET 왜냐구요? 실제로 우리는 '복돌짓을 하는 사람이 동시에 정돌짓을 하는 세계'에 살고 있기 때문입니다. 라노베 '사서'보면서도 애니는 다운받아 보는 사람들이 대표적인 예시겠죠.

2013-06-01 20:10:40
@DMG_FOXP2

@creaturess @FNS_ReSET 제가 그들이 잘못되었다고 지적하지 말라는 건 아닙니다. 무단횡단이 그 행위를 저지른 사람에게는 아무리 비용이 적게 드는 '합리적'인 행위일지 몰라도 법적/사회비용적으로 생각해 볼 때 충분히 문제가 있습니다.

2013-06-01 20:11:29
@DMG_FOXP2

@creaturess @FNS_ReSET 그렇기 때문에 바로 '복돌짓 하는 사람이 파이를 넓히는 효과가 있다'는 걸 단순히 '복돌짓 하고 싶어서 그렇지!'라고 보는 태도는 걍 꼰대질이라는 겁니다. 도덕적 우위를 차지할 순 있어도 그냥 화풀이죠.

2013-06-01 20:12:08
生物體 @creaturess

@DMG_FOXP2 @FNS_ReSET 존재하는 것과 존재함을 합리화하는 것은 엄연히 다른 문제입니다. 자신이 그것에 속하지만 잘못되었다는 것을 아는 것과 '현실은 이러니까 어쩔 수 없는 일이야'하고 합리화 하는 것은 엄연히 다르죠.

2013-06-01 20:11:30
生物體 @creaturess

@DMG_FOXP2 @FNS_ReSET 어디에도 검증된 자료도 없이 합리화만을 위해 그런 주장을 하는 것에 대해 비난하는 것도 꼰대질이라고요? 황당무계하네요.

2013-06-01 20:13:25
生物體 @creaturess

@DMG_FOXP2 @FNS_ReSET '파이'라는 건 실제 이득이 오갈 때 생기는 개념이지 '언제일지 모르는 언젠가' 생길 이득을 계산에 넣어서 말하는 개념이 아닙니다.

2013-06-01 20:13:36
@DMG_FOXP2

@creaturess @FNS_ReSET 제가 이걸 '검증'하라고 하면 곤란한 건 사실입니다만, 적어도 저 분이 아무런 근거 없이 내놓은 얘긴 아닙니다. http://t.co/K4VGzfPjuV https://t.co/ZhC90XLoVn

2013-06-01 20:14:39
@DMG_FOXP2

@creaturess @FNS_ReSET 설령 어떤 검증을 통해서 저 논리들을 반박할 수는 있어도 (그리고 그것은 건설적인 태도입니다) '너는 복돌짓을 합리화시키기 위해서 그런 논리들을 내세울 뿐이지!'란 태도는 어딜봐도 꼰대짓이죠.

2013-06-01 20:16:08
쓺(2P) @ssuerm

@creaturess @DMG_FOXP2 @FNS_ReSET 실제로 이런 걸 보면 파이를 넓힌다고 봐도 무방하지 않을까여? http://t.co/rShQHbmkEF

2013-06-01 20:16:22
生物體 @creaturess

@ssuerm @DMG_FOXP2 @FNS_ReSET 이 통계를 보면, 오히려 반대로 그 돈을 지불하는 사람들이 소비하는 불법 컨텐츠의 양은 합법보다 훨씬 많군요. '시장'은 넓어졌지만 '파이'는 도리어 파먹은 거죠.

2013-06-01 20:24:58
쓺(2P) @ssuerm

@creaturess @DMG_FOXP2 @FNS_ReSET 그 트윗에서 '파이'가 그렇게 엄밀한 용어였다고 생각하진 않아서요…

2013-06-01 20:26:12
生物體 @creaturess

@ssuerm @DMG_FOXP2 @FNS_ReSET '시장'의 크기와 '파이'의 크기가 똑같은 시장은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으니 비교할 수는 없지만, 저 사람이 주장한 '불법이 없으면 시장이 죽는다' 운운 같은 소리는 도저히 옹호할 마음이 안 드네요

2013-06-01 20:26:23
@DMG_FOXP2

@ssuerm @creaturess 그 사람도 계속해서 '인지도'가 '소비'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는 식으로 얘기를 했습니다. https://t.co/C0In3LAzxp

2013-06-01 20:27:25
生物體 @creaturess

@DMG_FOXP2 @ssuerm 일본 내수용 작품의 한국 내 인지도가 대체 무슨 소용이 있습니까? 우타바네님도 말씀하시네요. 정작 저작권자는 인지도 상승 바라지도 않는데 대체 무슨 봉사정신으로 인지도 운운을 하는지.

2013-06-01 20:28:30
@DMG_FOXP2

@creaturess @ssuerm 그 의견을 옹호하는 것과 그 의견이 복돌의 논리위에서 서있다는 건 전혀 다른 이야기라는 얘기입니다. 게다가 그 '파이를 파먹는 인간'이 컨텐츠에 많은 소비를 하고 있는 소비자라는 사실은 변함이 없고요.

2013-06-01 20:28:43
@DMG_FOXP2

@creaturess @ssuerm 저 트윗이 다루는 내용이 '애니'만을 다루고 있는 건가요? (아키라의 경우엔 잘못된 예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를 테면 유튜브에 올라간 수많은 mnet방송이 음원소비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건 변함이 없단거죠.

2013-06-01 20:29:42
生物體 @creaturess

@DMG_FOXP2 @ssuerm 그 긍정적 영향 운운은 컨텐트 제작 측에서 할 수 있는 말이지 불법으로 퍼뜨리는 사람이 할 수 있는 말이 아닙니다.

2013-06-01 20:30:46
生物體 @creaturess

@DMG_FOXP2 @ssuerm '우리 인지도를 넓히기 위해 불법을 눈감는다', 좋죠. 주인이 풀겠다는데 무슨 이유가 있을가요. 그런데 '님 인지도 넓혀줄 테니 불법으로 풀겠음' 이게 말이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2013-06-01 20:31:21

--동인지 사안

@DMG_FOXP2

@creaturess @ssuerm 마치, 동인지가 저작권 침해인데도 묵인하듯이.

2013-06-01 20:29:52
生物體 @creaturess

@DMG_FOXP2 @ssuerm 동인지랑은 엄연히 다른 문제입니다. 가치를 전가하지 마세요.

2013-06-01 20:31:43
@DMG_FOXP2

@creaturess @ssuerm 동인지랑 어떻게 다른지 저로서는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작품 내용 자체를 무단 전재하지 않았다고는 하나, 저작권을 침범하고 있는 문제는 동일하다고 봅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해주실 수 있겠습니까?

2013-06-01 20:32:57
前へ 1 2 ・・ 7 次へ